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4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는 이유 <종합>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는 이유   많은 경제전문가들이 2024년 내에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을 거라고 말합니다. 실제로도 인플레이션이 조금 둔화된 것처럼 보이다가 다시 살아나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뭘까요? 제가 이전 글들에서도 이 내용을 조금씩 다루긴 했지만, 종합해서 말씀드린 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는 이유를 하나하나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이유, 어설픈 연준(FED)의 행보 미 연준(FED)이 2023년 7월 5.5%로 기준금리를 급격하게 올리자 물가 상승이 둔화되는 듯했습니다. 실제로 2023년 12월에 물가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자 시장은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갖기 시작했죠.  연준(FED)의 파월 의장도 둔.. 2024. 5. 26.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이유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이유  며칠 전 한국 경제의 1분기 깜짝 성장이 보도되면서 무디스와 같은 신용평가사와 여러 경제연구기관이 2024년 올해 한국경제성장률을 2% 중반으로 수정했습니다.  사실 1분기 깜짝 성장은 결과만 놓고 보면 반길만한 일이지만, 이런 결과의 배경에는 반도체 실적 개선이 기여한 바가 큽니다. 그래서 단순히 결과만 보고 밝은 미래를 기대하기에 이른 감이 있습니다. 더구나 수출실적만 높아졌을 뿐 내수경제는 여전히 침체 상태에 빠져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일까요? 한국의 올해 1분기 GDP(국내총생산)는 수출 회복세와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다고 보도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기관들은 한국 경제의 잠재 성장률이 계속 떨어질 거라고 예상.. 2024. 5. 25.
국가 경제를 파악할 때 GNI는 왜 필요할까? 국가 경제를 파악할 때 GNI는 왜 필요할까?  한 나라의 경제 수준을 파악할 때 사용되는 두 가지 대표지표가 있습니다. 하나는 GDP(국내 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이고, 다른 하나는 GNI(국민 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입니다.  두 단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엄연히 다른 지표입니다. 때론 국가 경제와 국민 경제 수준을 파악할 때 GDP보다 GNI가 보다 정확한 지표로 여겨집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GDP와 GNP의 차이 GDP와 GNI는 모두 국민경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하지만 두 지표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GDP는 생산에 초점을 맞춘 지표인 반면, GNI는 소비와 소득에 초점을 맞춘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GDP는 한 나라의.. 2024. 5. 24.
일본이 금리를 쉽게 올리지 못하는 이유 일본이 금리를 쉽게 올리지 못하는 이유  한동안 환율이 지속적으로 오르자 2024년 4월 17일 한일 양국이 처음으로 ‘공동 구두개입’을 시사했습니다. 이후 원화와 엔화의 가치가 소폭 상승 조정되었죠.  그런데 일본은 자국의 통화가치가 약세로 이어지고 있는데, 구두개입으로 경고만 할 뿐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그 이유는 바로 일본의 엄청난 부채에 답이 있습니다.  *일본 경제와 관련해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될만한 글을 아래에 링크해두었습니다.2024.05.16 - [경제/생활경제] - 엔화가 기축통화이자 안전자산이 된 이유 엔화가 기축통화이자 안전자산이 된 이유엔화가 기축통화이자 안전자산이 된 이유  2024년 3월 19일 일본이 17년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세계인들의.. 2024. 5. 23.
탈세계화는 어떻게 인플레이션을 불러왔을까? 탈세계화는 어떻게 인플레이션을 불러왔을까?  전 세계가 인플레이션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경제 대국인 미국에서도 높은 금리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물가조차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죠.  얼마 전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되면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었다고는 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물가는 쉽게 잡히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입니다. 그동안 세계는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 등 다양한 위기를 겪어 왔습니다. 그리고 이런 요인들이 원인이 되어 지금과 같은 물가 상승을 견인했죠.  하지만 물가가 상승했던 원인 중에는 미국 주도의 질서가 변화되었던 점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탈세계화가 어떻게 인플.. 2024. 5. 22.
두 가지 유형의 자산버블 두 가지 유형의 자산버블  간혹 금융시장이 요동칠 때마다 버블이 아니냐고 걱정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특히 오랫동안 자산 가격을 관찰했던 분일수록 갑작스러운 자산 가격 변동에 먼저 의심스러운 눈초리로 바라보는 것이죠. 충분히 합리적인 의심입니다. 하지만 투자자산의 적정가격이 얼마냐 하는 문제는 결국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지, 단시간 내에 자산 가격의 상승이나 하락만 보고 판단할 문제는 아닙니다. 대부분의 가격 상승은 어떤 트리거로 발생하지만 여기에는 가수요와 투기수요뿐 아니라 실수요와 해당 자산의 미래가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결국 버블이냐 아니냐는 시장 가격이 말해줍니다. 하지만 버블도 시장에 커다란 충격을 줄 수 있는 버블이 있고, 그렇지 않은 버블이 있습니다. 이는 투.. 2024. 5. 21.
달러의 구조적 모순과 기축통화의 지위 달러의 구조적 모순과 기축통화의 지위 최근 환율이 1350원 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환율이 1300원이라고 하면, 여기저기서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왔는데, 이제는 이 가격대가 너무 오랫동안 지속된 탓인지 일상적인 현상으로 보이기까지 합니다.  환율이 높다는 것은 달러가 강세고, 원화는 약세라는 뜻이죠. 원화가 약세가 되면서 국내의 수출실적이 개선되고 있다는 소식은 분명 반길만한 소식입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달러강세는 신흥국들에게 큰 어려움을 안겨주는 동시에 기축통화의 지위를 흔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달러의 구조적인 모순 때문인데요. 오늘은 이 내용을 담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달러의 구조적 모순, 트리핀의 딜레마 트리핀의 딜레마는 로버트 트리핀의 이름을 따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트리핀은 19.. 2024.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