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 금리(加算金利) 구성요소 알아보기
많은 분들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마다 접하는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가산 금리인데요. 가산 금리는 어떤 사람이 돈을 빌리느냐에 따라 그 수준이 달라집니다. 즉 같은 돈을 빌리더라도 붙는 비용이 달라진다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대출금리는 기준금리에 ‘가산 금리(加算金利)’를 더하고 가감조정금리를 빼서 산정합니다. 식으로 표현하면, ‘대출금리=기준금리+가산금리-가감조정금리’입니다. 가산 금리는 통상 대출자의 신용도 혹은 자산규모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오늘은 가산 금리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산 금리(加算金利) 구성요소 알아보기’ 글 구성>
· 가산 금리(加算金利) 정의 내리기
· 가산 금리 구성요소
· 가산 금리를 표현하는 단위, 베이시스 포인트
· 정리하는 글
가산 금리(加算金利) 정의 내리기
네이버 국어사전을 살펴보면, 가산 금리는 ‘금융 기관에서 대출, 채권 따위의 금리를 결정할 때 기준 금리에 덧붙이는 금리’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준금리는 은행이 금리를 산정할 때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보통 자금조달에 사용한 직접비와 간접비를 합한 비용을 감안해 산출되고 있죠. 이 기준금리에 대출자의 신용도 등을 평가해 가산(더해서 계산)한 것이 가산 금리입니다.
그렇다면 가산 금리에는 어떤 요인들이 추가될까요? 먼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대출자의 신용도입니다. 그 밖에도 여러 요인들이 더해지는데요. 그럼 이제부터 가산 금리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산 금리 구성요소
가산 금리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가산 금리를 구성하는 항목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리스크 관리비용’입니다. 리스크 프리미엄은 시장의 위험과 관련된 것으로 주로 금융기관이 고객에게 대출을 해줄 때 기준으로 삼는 준거금리와 자금조달 비용 간의 차이를 뜻합니다. 은행은 이를 리스크 관리비용에 포함시키고 있죠. 만약 은행이 돈을 빌려줬는데 고객이 돈을 갚지 못하면 은행이 이 모든 손실을 모두 떠안아야 합니다. 그래서 은행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대출자에게 전가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은행은 금융시장이 안고 있는 변동성 위험, 은행의 유동성 부족 위험, 대출을 함으로써 잃게 되는 기회비용까지 리스크 관리비용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금융회사의 인건비와 전산처리 등에서 발생하는 업무 원가, 각종 세금으로 나가는 제반법무비용, 은행의 마진과 은행 영업점장이 고객의 거래 실적에 따라 우대를 해주는 전결금리 등도 포함시키고 있죠. 이처럼 가산 금리를 구성하는 요소에는 다양한 리스크 프리미엄이 포함됩니다.
가산 금리를 표현하는 단위, 베이시스 포인트
통상 가산 금리를 표현하는 단위는 %(퍼센트)와 베이시스 포인트(Basis Point, BP)입니다. ‘%’는 많은 분들이 일상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지만, 베이시스 포인트(bp)는 생소하게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별거 아닙니다. ‘1 베이시스 포인트(bp)’를 ‘%’로 표현하면 ‘0.01%’이 됩니다. 즉 1 베이시스 포인트는 ‘%’의 ‘1/100’을 뜻하는 단위죠. 쉽게 말해 1%를 100등분 한 것입니다. 그럼 ‘1%’를 ‘베이시스 포인트’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요? 정답은 100bp입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겠습니다.
1% = 100BP
100BP = 1%
1BP = 0.01%
0.01% = 1BP
헷갈린다면 위 정리를 몇 번만 읽어보세요. 금방 숙달될 겁니다.
정리하는 글
오늘은 ‘가산 금리(加算金利) 구성요소 알아보기’라는 제목으로 가산 금리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이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원하든 원치 않던 누구나 한 번쯤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은행이 제시한 비용에 아무런 대꾸도 못하고 받아들이고 있죠. 물론 대출자의 입장에서는 선택사항이 없다면 돈을 빌려주는 쪽이 정한 규칙을 따라야겠지만, 그럼에도 자신의 대출 금리가 어떻게 제시된 것인지는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그럼 오늘은 이렇게 글을 정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슈퍼금리 슈퍼리치』
*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될만한 글을 링크합니다.
2025.04.08 - [경제/생활경제] -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금리, 그 분류와 종류 & 민평금리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금리, 그 분류와 종류 & 민평금리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금리, 그 분류와 종류 & 민평금리 금리의 종류는 정말 다양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종류의 금리도 그 쓰임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
the-gongam1313.tistory.com
2024.11.28 - [경제/생활경제] - 가계부채와 국가채무는 다른 개념
가계부채와 국가채무는 다른 개념
가계부채와 국가채무는 다른 개념 최근 언론에서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다는 보도를 내놓자 많은 분들이 국가채무가 늘었다며 걱정하시곤 합니다. 가계에 부채가 늘었으니 이는 결국 국가
the-gongam1313.tistory.com
2024.11.17 - [경제/생활경제] - ABS(자산유동화증권)와 함께 알아보는 MBS, CBO, CLO
ABS(자산유동화증권)와 함께 알아보는 MBS, CBO, CLO
ABS(자산유동화증권)와 함께 알아보는 MBS, CBO, CLO 최근 금융회사들이 부실채권(NPL)을 기초로 하는 ABS 발행을 늘리고 있다고 합니다. 오래전 글에서 다뤘던 용어지만 ABS(Asset backed securities)는 증
the-gongam1313.tistory.com
2024.06.26 - [경제/생활경제] - 기준금리가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기준금리가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기준금리가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세계 각국에는 자국의 통화정책을 담당하는 중앙은행이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조정해 한 나라의 경제 과열과 침체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the-gongam1313.tistory.com
2024.07.26 - [경제/생활경제] - 시중금리가 기준금리와 다르게 반응하는 경우 <시중은행 편>
시중금리가 기준금리와 다르게 반응하는 경우 <시중은행 편>
시중금리가 기준금리와 다르게 반응하는 경우 시중은행 편> 각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 수준을 조절해 물가안정을 꾀합니다. 중앙은행의 핵심목표가 물가안정이기 때문이죠. 중앙은행은 기준
the-gongam1313.tistory.com
'경제 > 생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익률곡선(일드커브 yield curve) 개념 잡기 (0) | 2025.04.25 |
---|---|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금리, 그 분류와 종류 & 민평금리 (0) | 2025.04.09 |
주식시장 종목은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0) | 2025.02.21 |
대표적인 금리 종류 알아보기 (0) | 2025.02.17 |
이자제한법과 금리인하요구권 알아보기 (2)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