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생활경제255 기업의 적정주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EV/EBITA 기업의 적정주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EV/EBITA 기업의 인수합병이 이루어지거나 주식투자를 할 때 기업의 적정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에는 EV/EBITA가 있습니다. 최근 두산그룹이 두산에너빌리티의 자회사인 밥캣을 두산로보틱스 자회사로 두는 사업 재편 진행하고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밥캣의 지분 1%를 보유하고 있는 얼라인 파트너스 자산운용(얼라인)이 주주서한을 통해 EV/EBITA로 밥캣을 분석해 보니 내재가치가 낮게 평가되었다며 호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얼라인은 투자대상기업의 가치제고를 추구하는 투자회사로 유명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얼라인이 밥캣의 가치가 저평가되었다고 주장하는 근거가 된 EV/EBITA가 무엇인지 또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EV(Enterpro.. 2024. 10. 26. 유가가 오르면 농산물 가격도 함께 오르는 이유 유가가 오르면 농산물 가격도 함께 오르는 이유 흔히 농산물은 사람이 소비한다고 많은 분들이 인식하고 있습니다. 농산물은 먹거리고 먹거리를 소비하는 것은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농산물은 사람보다 가축이 소비를 더 많이 합니다. 그래서 농산물의 주 소비자는 가축입니다. 이 외에도 농산물은 연료나 비료로도 활용되고 있죠. 종종 중동 지역에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높아졌을 때 유가가 치솟곤 하는데, 이때 시차를 두고 농산물 가격도 함께 상승하곤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이유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 유가상승과 농산물 가격의 관계Ⅰ 경제 확장기에 늘어나는 농산물 소비수요Ⅱ 유가 상승기에 나타나는 대체에너지의 수요증가Ⅲ 유가상승과 연계된 농산물 생산비용종합 정리· 유가와 농산물 가격이 상승했을 때 .. 2024. 10. 25. 기준금리 조정과 국제유가의 관계 기준금리 조정과 국제유가의 관계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정하면 물가가 잡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물가가 상승하면 기준금리를 올려 물가를 잡으려고 하고, 물가가 하락하면 기준금리를 내려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런데 사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조정이 물가를 잡는데 강력한 힘을 발휘하긴 하지만 물가를 잡는 만병통치약은 아닙니다. 특히 국제유가가 급등락 했을 땐 한 국가의 기준금리 조정이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오래전부터 논쟁이 되었던 기준금리와 유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먼저 이 내용을 다루기에 앞서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조정에 대해 알아보고 외생변수와 내생변수에 대한 개념을 정리한 뒤 기준금리와 유가의 관계를 살펴보도.. 2024. 10. 24. 대차거래와 대주거래 알아보기 대차거래와 대주거래 알아보기 2024년 10월 14일 금융투자협회가 개인의 신용거래대주 조건을 기관의 대차거래와 동일하게 바꿨다고(규정 개정) 밝혔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 공매도 시장이 ‘기울어진 운동장’에 가깝다는 비난에서 한 걸음 벗어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오늘은 대차거래와 대주거래에 대해 알아보면서 새롭게 개정된 규정에서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규정 개정 이전의 국내 증시와 공매도- 대차거래 (Loan transaction)- 대주거래 (stck lending and borrowing)- 신용거래, 신용거래융자와 신용거래대주- 새로 개정된 신용거래대주 규정- 정리하는 글 규정 개정 이전의 국내 증시와 공매도 투자자가 국내에서 공매도를 하려면 주식을.. 2024. 10. 23. 이자율과 할인율 개념 이해하기 이자율과 할인율 개념 이해하기 투자를 하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이자율과 할인율인데요. 이자율과 할인율에 대한 개념이 바로잡혀 있어야 자신이 손실을 본 것인지 이득을 본 것인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단어들에 대해 어설프게 이해를 하고 있거나 잘못 이해를 하면 손해를 봤어도 이익을 봤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이익을 봤어도 손해를 봤다고 착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개념은 채권투자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이번 기회를 통해서 확실히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이 두 개념이 어떻게 다른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글 구성- 이자와 이자율, 미래가치와 현재가치- 돈의 현재가치와 할인율 개념- 이자율과 할인율 개념정리- 정리하는 글 이자와 이자.. 2024. 10. 22. 기업의 사업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자금조달 방식) 기업의 사업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자금조달 방식) 주식투자를 할 때 기업의 사업경쟁력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이 있을까요? 기업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 순이익, 사업과 관련된 호재, 재무상태, 연구개발 인력, 제조설비, 사업비전 등 여러 가지 기준이 있을 것입니다. 물론 언급한 요인들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저는 이번 글을 통해 투자하려는 기업의 자금조달 방식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해당기업의 사업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그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글 구성>1. 기업이 남의 돈을 빌리는 세 가지 방식2. 사업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하는 자금조달방식, 채권3. 기업의 자금조달 방식에서 추가로 알아둬야 할 사항4. 정리하는 글 기업이 남의 돈을.. 2024. 10. 21.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통상 에너지, 귀금속, 산업금속, 농산물을 원자재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이 원자재 섹터 중에서 가장 이질적인 성격을 보이는 섹터가 있습니다. 바로 농산물입니다. 농산물을 제외한 나머지 섹터들은 희소성이 존재하는데, 농산물은 반복생산 가능하기 때문에 희소성과 거리가 멉니다. 그럼에도 원자재로 분류되고 있죠. 원자재(Commodity)는 주로 금융시장에서 사용되는 한정된 개념입니다. 금융시장에서 매매가 이루어지려면 일정한 가치를 지니고 있어야 합니다. 농산물 역시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다른 원자재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성 때문에 다른 기준을 적용해서 바라봐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런 농산물의 특성과 함께 가격결정요인을 알아보고 농산물가격이 지속적으.. 2024. 10. 20. 이전 1 ··· 5 6 7 8 9 10 11 ··· 3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