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생활경제254

기업의 사업보고서, 핵심 포인트 살펴보기 기업의 사업보고서, 핵심 포인트 살펴보기  주식투자를 하는 분들이라면 투자하려는 기업이 어떤 곳인지 반드시 파악해야겠죠?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지표나 정보는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기업이 발행하는 사업보고서는 빼먹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료입니다.  투자기업의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 ‘다트(dart, https://dart.fss.or.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곳에서는 상장사뿐 아니라 외부감사를 받는 법인의 공시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업보고서는 1년에 한 번씩 발표되며 기업의 전반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공시로 3월 말 주주총회를 앞두고 발표됩니다.  오늘은 투자자들이 사업보고서를 읽을 때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읽어봐야 하는지 핵심 포인트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회사의.. 2024. 11. 18.
ABS(자산유동화증권)와 함께 알아보는 MBS, CBO, CLO ABS(자산유동화증권)와 함께 알아보는 MBS, CBO, CLO  최근 금융회사들이 부실채권(NPL)을 기초로 하는 ABS 발행을 늘리고 있다고 합니다. 오래전 글에서 다뤘던 용어지만 ABS(Asset backed securities)는 증권발행자가 당장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활용하는 상품인데요. 근래에 이런 상품들의 발행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대한민국 경제가 불안한 상태에 놓여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ABS채권이 무엇인지 간략히 정리한 뒤 금융회사가 발행하는 NPL(부실채권)을 기초로 발행되는 ABS는 어떤 점에서 문제가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MBS, CBO, CLO라는 상품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ABS(자산유동화증권,.. 2024. 11. 17.
손실과 부실을 깨끗이 털어내는 '빅 베스' 알아보기 손실과 부실을 깨끗이 털어내는 '빅 베스' 알아보기  경제기사에서 자주 종종 등장하는 단어 중에는 일부 사람들에게 다소 혼란을 주는 단어가 있습니다. ‘빅 베스(Big bath)’도 그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요. 낚시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이 용어를 외래 어종인 ‘거대한 큰입 배스’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낚시인들 사이에서는 큰 사이즈의 큰입배스를 ‘빅 배스’라고 부르기도 하거든요. 이런 착각은 발음이 비슷해 생기는 오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경제기사에서 종종 등장하는 ‘빅 베스(Big bath)’의 개념, 시행 목적, 시행 기업, 유사 용어를 함께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빅 베스(Big bath) 개념 잡기· 빅 베스를 시행하는 목적· 빅 베스를 주로 시행하는 기업의 특징· 빅 베.. 2024. 11. 16.
분산투자의 문제점과 해결법 분산투자의 문제점과 해결법  증시에는 참 많은 격언들이 있습니다. ‘떨어지는 칼날을 잡지 마라.’,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아라.’, ‘잘 아는 기업에 투자해라.’ 등 여러 말들이 있죠. 모두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훌륭한 격언들입니다. 하지만 자신만의 원칙 없이 이런 격언들만 따라 무작정 투자하게 되면 오히려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분산투자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오늘은 리스크를 줄이는 대표적인 투자 방법인 분산투자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분산투자의 문제점· 분산투자보다 더 중요한 요소· 분산투자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방법· 정리하는 글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 2024. 11. 15.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BW는 CB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BW는 CB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지난번 포스팅에서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가 무엇인지 그리고 언제 발행되는지를 말씀드렸는데요. CB와 함께 기업들이 자주 발행하는 채권이 있습니다. 그것은 BW(신주인수권부사채, Bond with subsciption Warrant)입니다. 근래 내수경기가 침체되자 BW 역시 발행이 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BW 개념정리와 함께 BW가 CB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 이들 상품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BW(신주인수권부사채, Bond with subscription Warrant) 개념 잡기· BW(신주인수권부사채)와 CB(전환사채)의 차이· 채권과 주식의 성격을 동시에.. 2024. 11. 13.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는 언제, 왜 발행될까?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는 언제, 왜 발행될까?  최근 경제뉴스를 살피다 보면 CB를 발행하는 기업이 부쩍 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각각의 기업들이 CB를 발행하게 된 배경은 모두 다르겠지만, 결국 자금을 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한다는 점은 동일한데요. 오늘은 CB가 무엇인지 간략히 알아보면서 CB가 투자자와 기업의 입장에서 어떻게 해석되는지, 또 CB는 주로 언제 왜 발행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CB 개념 잡기(기업은 왜 CB를 발행할까?)· 투자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CB· 기업의 입장에서 바라본 CB· CB는 주로 언제 발행될까?· 정리하는 글    CB 개념 잡기(기업은 왜 CB를 발행할까?)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는 채권입니다... 2024. 11. 12.
달러표시자산과 자산 가격의 메커니즘 이해하기 달러표시자산과 자산 가격의 메커니즘 이해하기  최근 제가 활동하는 카페에서 이런 질문을 주신 분이 계십니다. ‘KRX 금시장에서 금을 매입했는데, 달러로 표시된 금 가격은 하락하는 반면, 원화로 표시된 금 가격은 상승하는 게 잘 이해가 안 된다’고 말이죠. 사실 이런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선 달러표시자산과 환율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전제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왜 이런 현상이 발생되는지 그 메커니즘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달러표시자산이 무엇인지, 환율은 어떻게 움직이는지 설명드린 뒤, 왜 위 질문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었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달러표시자산이란?· 환율 개념 잡기· 달러표시 금 가격은 하락하는데 원화표시 금 가격은 상승하는 이유· 트럼프 당선이 확정되면서 달러표시.. 2024. 1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