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생활경제258

잃지 않는 투자가 가능한 자산 조건 잃지 않는 투자가 가능한 자산 조건  많은 금융·경제전문가들이 강조합니다. 잃지 않는 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이죠. 그런데 의문이 듭니다. ‘과연 잃지 않는 투자가 가능할까?’라는 의문 말입니다. 저 역시 ‘잃지 않는 투자’를 지향하고 있습니다만, 이는 결코 쉽지 않습니다. 어떤 자산이든 가격등락을 거듭하고 이 과정에서 초심이 흔들리기 때문이죠. 하지만 불가능한 일만은 아닙니다. 투자대상만 잘 골라 원칙에 따라 행동한다면 말이죠. 특히 투자 대상으로 어떤 자산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잘 고른 자산일수록 시간이 흐르면서 가치를 인정받아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잃지 않는 투자가 가능하려면 어떤 자산에 투자해야 하는지 또 이런 자산에는 어떤 특징이나 조건이 있는지 말씀드리고.. 2024. 11. 5.
<안정성 지표> 유동 비율, 부채 비율, 유보율 함께 알아보기 유동 비율, 부채 비율, 유보율 함께 알아보기  많은 투자자들이 주식에 투자할 때 다양한 지표를 검토하겠지만 기업의 재무상황 즉, 유동성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고 매출이 높은 기업도 일시적인 문제로 유동성 문제를 겪게 되면 큰 위기에 봉착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돈은 잘 벌지만 일시적인 자금 악화로 기업이 도산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흑자도산’이라고 합니다. 이런 점에서 투자자분들은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안정성 지표라 불리는 유동 비율과 부채 비율 그리고 유보율을 꼭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유동비율, 부채 비율, 유보율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 지표를 어떻게 산출하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 유동 비율, 부채 비율, 유보율 함께 알아보기’ 글 구성· 유동성(.. 2024. 11. 4.
기업의 투자 수익률, ROI 알아보기 기업의 투자 수익률, ROI 알아보기 지난번 포스팅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 ROE와 ROA 함께 알아보기’에서 ROE와 ROA가 어떤 지표인지 말씀드리면서 산출법도 살펴봤는데요. 해당 글을 통해서 ROE와 ROA는 기업의 자본이나 자산으로 투자한 수익률을 나타낸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기업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투자를 하는 주체입니다. 그것이 연구든, 설비든, 인력이든 그 무엇이든 간에 자본을 투여해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죠.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 부분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업 투자는 주가상승의 호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그래서 오늘은 기업의 투자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ROI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제부터 ROI에 대한 개념 설명과 .. 2024. 11. 3.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 ROE와 ROA 함께 알아보기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 ROE와 ROA 함께 알아보기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기업이 자기 자산을 이용해 얼마나 수익을 내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결국 주가는 기업의 실적(이익창출능력)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ROE, ROA, 지표를 통해서 말이죠. 그래서 오늘은 이 지표들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고, 또 어떻게 계산하는지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률)· ROE와 ROA의 차이점· 정리하는 글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ROE(자기자본이익률)라 .. 2024. 11. 2.
환율과 달러 인덱스(지수) 이해하기 환율과 달러 인덱스(지수) 이해하기  최근 환율이 1380원대로 치솟으면서 한국경제에 경보음이 울렸습니다. 갑작스러운 환율 상승은 수입물가 상승을 유발하고, 금융 시장의 불안을 야기해 외국인 자본유출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물가상승, 금융시장의 불안, 자본유출은 대한민국 경제 전반을 흔들고, 이런 불안감은 다른 국가로 쉽게 전이되기도 하죠. 환율의 움직임에 따라 대한민국 경제주체들이 막대한 영향을 받는 만큼, 우리나라 국민들의 환율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달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환율과 이와 연계된 달러 인덱스(지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환율과 달러 인덱스(지수) 개념 잡기· 전 세계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달러· 달러 가격과 달러 가.. 2024. 11. 1.
기업 가치를 분석할 때 PER(주가수익비율)만 봐선 안 되는 이유 기업 가치를 분석할 때 PER(주가수익비율)만 봐선 안 되는 이유  기업 가치를 분석할 때 활용되는 지표에는 대표적으로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지표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고, 또 기업 가치를 분석할 때 PER 지표만 보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래서 오늘은 PER개념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서 이 지표를 해석할 때 어떤 부분을 조심해야 하는지, 또 어떻게 활용해야 되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PER개념 바로잡기· 기업의 현재(실제) 가치를 반영하지 못하는 PER· PER이 실제 의미하는 것· PER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정리하는 글    PER개념 바로잡기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은 초보 투자자들에.. 2024. 10. 31.
서민들의 사치재, 커피를 통해 바라본 투자기회 서민들의 사치재, 커피를 통해 바라본 투자기회  최근 대학가를 둘러보면 밥은 안 먹어도 커피는 마시는 학생들이 자주 목격됩니다. 음식점은 텅텅 비어있는 곳이 많은데, 스타벅스 같은 카페는 늘 사람이 붐빕니다. 이런 모습은 단지 어제오늘의 모습은 아닌 것 같습니다. 심지어 한 언론에서는 한국을 커피공화국에 비유하면서 한국인들의 지나친 커피사랑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기도 했죠. 이런 모습은 분명 과거와 다른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커피는 어떻게 우리의 삶에 깊숙이 파고들게 된 것일까요? 오늘은 늘어나는 커피 수요의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새로운 투자의 기회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 커피전문점이 편의점보다 많은 나라, 대한민국· 커피는 전 세계인이 사랑하는 음료· 커피수요와 커피산업 투자· 정리하는 글   .. 2024. 10.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