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생활경제

GDP 디플레이터 쉽게 이해하기

by 순수한 땡글 2025. 1. 23.
반응형

GDP 디플레이터 쉽게 이해하기

 

 

최근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이 1960년대 이후로 최장 기간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저물가와 화폐가치 상승)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중국이 일본이 걸어온 길을 따라가게 될 거라는 전망인데, 블룸버그는 그 이유로 중국의 GDP 디플레이터가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GDP 디플레이터가 무엇이기에 이 수치가 낮아질수록 중국이 디플레이션을 걱정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GDP디플레이터가 무엇인지 말씀드리면서 블룸버그 통신이 중국의 미래를 어둡게 바라보는 이유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GDP 디플레이터 쉽게 이해하기’ 글 구성>

· GDP 디플레이터 개념 및 산출방법
· 명목 GDP와 실질 GDP 개념 익히기
· 블룸버그 통신이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을 예상한 이유
· 정리하는 글

 

 

2023년 GDP 디플레이터
이미지 출처_네이버 검색_2023년 GDP 디플레이터

 

 

GDP 디플레이터 개념 및 산출방법

 

GDP 디플레이터는 한 국가의 경제활동을 반영하는 물가지표입니다. GDP(국내총생산)을 기반으로 산출한 물가지표입니다. 우리가 자주 접하는 소비자물가지수처럼 국내 물가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지표입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에 대비시켜 산출합니다.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GDP 디플레이터 산출식
GDP 디플레이터 산출식

 

 

GDP 디플레이터는 100을 기준으로 등락을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GDP 디플레이터를 계산한 결과 110이라는 값이 나왔다면, 물가가 10%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GDP 디플레이터를 표현할 때는 기준 연도를 설정해 100이란 값을 부여한 뒤 올해 산출한 GDP 디플레이터와 비교하는 식입니다. (상단의 이미지는 2015년도의 GDP 디플레이터를 100으로 보고 2023년도와 비교한 값입니다.)

 

반대로 GDP 디플레이터를 계산한 결과 90이라는 값이 나왔다면, 물가가 10% 하락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찬가지로 기준년도에 100이란 값을 부여한 뒤 올해 물가와 비교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 개념 익히기

 

GDP(Gross Domestic Product)국내 총생산입니다. 일정기간 동안 국민들이 생산한 재화나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합해 표현한 값입니다. 경제학에서는 명목이라는 단어와 실질이라는 GDP에 붙여 구분하고 있습니다.

 

물가변동을 반영한 GDP명목 GDP’라고 합니다. 반면 물가 변동을 반영하지 않은 GDP실질 GDP’라고 합니다. 따라서 실질 GDP에 물가 변동 분을 더하면 명목 GDP가 되고, 명목 GDP에 물가 변동 분을 빼면 실질 GDP가 됩니다.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명목 GDP = 실질 GDP + 물가 상승률
실질 GDP = 명목 GDP – 물가 상승률

 

앞서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것을 풀어 표현하면 물가상승률을 반영 한 GDP(명목 GDP)를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지 않은 GDP(실질 GDP)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GDP 디플레이터가 100보다 큰 값으로 나왔다면 물가가 높아졌다는 뜻이고, 100보다 작은 값으로 나왔다면 물가가 낮아졌다는 뜻인 것이죠.

 

 

블룸버그 통신이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을 예상한 이유

 

블룸버그 통신이 올해도 중국이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말한 이유는 바로 GDP 디플레이터가 여전히 마이너스 값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중국은 2년 연속으로 GDP 디플레이터가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고 내수도 침체되어 있습니다.

 

중국은 한때 G2로 불리며 엄청난 성장을 보여줬습니다. 하지만 이런 중국도 과거에 디플레이션에 빠진 적이 있습니다. 아시아 금융위기(한국에서는 IMF사태로 알려져 있죠.) , 1998년에는 GDP디플레이터가 1.0%, 1999년에는 1.4%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다 중국시장이 개방되면서 이례적인 호황을 맞이했지만 2020년 코로나19를 거치면서 2023GDP디플레이터는 0.6%를 기록했고, 20241~3분기에는 0.7%를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남은 20244분기도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요한 사실은 현재 중국의 성장 동력이 꺼졌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미국에서 트럼프가 재집권에 성공하면서 중국에 관세를 60% 물리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죠. 대미 수출비중이 높은 중국의 입장에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내수도 악화되어 있는데 수출 길까지 막히니 해결할 방법이 마땅치 않습니다. 그러니 블루버그 통신이 중국 경제를 바라보는 시선도 부정적일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물론 중국이 이 상황을 어떻게 타개해 나갈지 알 수는 없지만, 지금 당장의 상황만 보면 미래가 어두워 보이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런 점에서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대한민국도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이네요.

 

 

정리하는 글

 

오늘은 ‘GDP 디플레이터 쉽게 이해하기라는 제목으로 GDP 디플레이터에 대한 개념과 산출 식을 알아봤고, 이를 구성하는 명목 GDP와 실질GDP에 대해서도 알아봤습니다.

 

트럼프의 MAGA(Make America Great Again)가 앞으로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예상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세계화로 수혜를 입었던 모든 국가들이 과거의 향수에서 빠져나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제는 과거의 성장방식은 통하지 않는 각자도생의 시대입니다. 이런 점에서 대한민국은 계엄 사태로 인한 정치적 혼란을 조속히 마무리 짓고 트럼프 정책으로부터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그럼 이렇게 글을 정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될만한 글을 링크합니다.

 

2024.05.15 - [경제/생활경제] - 국가의 경제 성장률을 나타내는 GDP이해하기

 

국가의 경제 성장률을 나타내는 GDP이해하기

국가의 경제 성장률을 나타내는 GDP이해하기  최근 신용평가회사 S&P가 2026년 대한민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4만 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그런데 윤 대통령이 이 내용을

the-gongam1313.tistory.com

2025.01.10 - [경제/미국경제] - 미국 경제성장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GDP NOW' 알아보기

 

미국 경제성장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GDP NOW' 알아보기

미국 경제성장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GDP NOW' 알아보기  미국 경제가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많은 투자자분들이 미국 경제상황에 깊은 관심을 갖고 계십니다. 이런 미국의

the-gongam1313.tistory.com

2025.01.08 - [경제/미국경제] -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살펴본 미국 GDP 구성요소와 비중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살펴본 미국 GDP 구성요소와 비중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살펴본 미국 GDP 구성요소와 비중  GDP는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입니다. GDP 산출방법은 한국이나 미국이나 동일하지만, 구성요소의 비중은 다릅니다. 이런 이유

the-gongam1313.tistory.com

2024.07.23 - [경제/생활경제] - 경제성장률은 무엇을 측정한 값일까?

 

경제성장률은 무엇을 측정한 값일까?

경제성장률은 무엇을 측정한 값일까?  경제기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가 ‘경제성장률’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데 정작 경제성장률이 무엇을 측정한 값인지 질문을 던지면

the-gongam1313.tistory.com

2024.05.21 - [경제/생활경제] - 국가 경제를 파악할 때 GNI는 왜 필요할까?

 

국가 경제를 파악할 때 GNI는 왜 필요할까?

국가 경제를 파악할 때 GNI는 왜 필요할까?  한 나라의 경제 수준을 파악할 때 사용되는 두 가지 대표지표가 있습니다. 하나는 GDP(국내 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이고, 다른 하나는 GNI(국민 총소

the-gongam13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