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4

‘인플레이션’이 경기를 추락시키는 과정 ‘인플레이션’이 경기를 추락시키는 과정 2024년 현재, 여전히 물가가 높긴 하지만, 물가 상승률은 점진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에 풀린 유동성이 미국주식을 비롯해 비트코인이나 금과 같은 자산에 몰리면서 다시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미 연방준비제도 Fed의 금리인하 의지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자칫하면 다시 나타날 수 있는 인플레이션이 어떻게 경기를 추락시키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려합니다. 인플레이션이 경기를 추락시키는 과정은 크게 네 가지 경로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인플레이션이 소비수요를 위축시키는 경우입니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 물가는 상대적으로 비싸집니다. 서민들 입장에서는 들어오는 수입은 일정한데 갑자기 나.. 2024. 3. 7.
‘물가지수’를 통해 알 수 있는 것들 ‘물가지수’를 통해 알 수 있는 것들 흔히 경제전문가들이 경제현황을 분석할 때마다 자주 입에 오르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물가’입니다. 그들은 올해 물가가 몇 프로 올랐다고 말하며 향후 경기가 어떻게 흘러갈 것이라는 등 전망을 내놓습니다. 이들이 설명할 때 사용하는 것은 ‘물가지표’인데, 물가지표 중에서도 대표 격은 ‘물가지수’(price index)입니다. 물가지표는 물가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로 생산, 소비, 투자활동을 반영합니다. 물가지수는 상품 가격을 종합해 평균을 내고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됩니다. 물가지수 중에서도 대표 격은 ‘소비자물가지수’인데, 소비자물가지수뿐 아니라 모든 물가지수는 기준시점의 물가를 ‘100’으로 놓고, 현재시점과 비교해 백분율로 표현됩니다. 지수의 비교는.. 2024. 3. 5.
기업이 ‘부채’로 자금을 조달하는 이유 기업이 ‘부채’로 자금을 조달하는 이유 일반적으로 기업이 사업자금을 모을 때는 투자를 유치하거나 주식을 발행합니다. 투자유치와 주식발행을 통해 자금을 모으면 회계 상으로 이 자금은 기업의 ‘자본’으로 잡힙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기업은 ‘부채’를 안고 있습니다. 부채를 안고 있다는 것은 어디서에선가 돈을 빌려왔다는 뜻이겠죠. 그렇다면 기업은 왜 투자유치나 주식발행을 활용하지 않고 부채를 지고 있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기업과 주주들의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자금을 끌어오는 방법 투자유치나 주식발행 외에 기업이 자금을 끌어오는 방법으로는 은행에 대출을 받는 것과 채권을 발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은행대출과 채권발행은 회계 상으로 ‘자기자본’이 아닌 ‘타인자본’으로 인식되기 .. 2024. 3. 3.
2024년 3월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통화안정증권(통안채)’ 2024년 3월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통화안정증권(통안채)’ 통화안정증권이란? 통화안정증권(통화안정채권, 통안채)이란 한국은행이 통화량(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단기 증권(재산권을 표시한 증서)입니다. 한국은행이 시중 통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공개시장 운영’수단으로 통화안정증권, 환매조건부채권(RP), 통화안정계정 예치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공개시장운영(Open market operation)이란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을 상대로 국공채(국가나 공공 기관이 재정상의 필요에 따라 신용으로 발행하는 채권) 등을 매매해 시중 유동성(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이나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통화정책 수단입니다. 공개시장.. 2024. 3. 2.
2024년 대한민국 경제 대내·외 리스크Ⅱ 2024년 대한민국 경제 대내·외 리스크Ⅱ 2024년 대한민국 경제 대외 리스크에 이어 대내 리스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한국경제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저성장 고물가 시대’라고 말할 수 있을 듯합니다. 기업의 투자가 정체되어 있고, 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스테그플레이션(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이 함께 나타는 현상)’이라고 하죠.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이런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저성장 고물가’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요인을 꼽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한민국 경제 대내 리스크:  1. 수출중심의 산업구조 대한민국은 수출과 제조업 중심의 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출중심 국가는 외부환경에 취약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달러의 가치에.. 2024. 3. 1.
비트코인 가격이 치솟는 이유와 투자 시 유의사항 비트코인 가격이 치솟는 이유와 투자 시 유의사항 ‘비트코인’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습니다. 아래는 2024.02.29.일 기준 네이버에서 ‘비트코인’을 검색한 기사제목입니다. 비트코인, 27개월 만에 6만달러 돌파…한때 6만4천달러 '터치'(종합)_2024-02-29 연합뉴스 "비트코인 역대 신고가"…관련주도 '불기둥'_2024-02-29 한국경제 TV 6만달러 넘어선 비트코인…관련주 강세_2024-02-29 이데일리 비트코인 급등세…트래픽 증가로 코인베이스선 오류까지_2024-02-29 newsis 비트코인 원화 기준 사상 최고가 8,300만 원 돌파_2024-02-29 kbs 뉴스 “왜 위와 같은 기사가 줄지어 나온 것일까요?” 이번에는 ‘경제 읽어주는 남자’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의 말을 .. 2024. 2. 29.
금리와 이자, 원금과 원리금의 차이 금리와 이자, 원금과 원리금의 차이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금리’와 ‘이자’, ‘원금’과 ‘원리금’을 혼용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단어들은 분명한 뜻 차이가 있습니다.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인 만큼 이번에는 용어를 정리해 드리려 합니다. 용어에 대한 설명에 앞서 각 단어들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금리’(金利, interest rate):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 ‘이자’(利子, interest):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 ‘원금’(元金, principal): ‘본전’을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원리금’(元利金, principal and interest): 원금과 이자를 합친 돈. 한글로 읽으면 같은 의미 아닌가? 하는 .. 2024.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