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생활경제257

인플레이션(inflation)을 막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인플레이션(inflation)을 막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세계경제가 어수선한 가운데 인플레이션까지 등장하며 많은 사람들이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1970년 오일쇼크 이후로 거의 40년 만에 돌아온 인플레이션.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물가가 상승했다는 말은 화폐가치가 떨어졌다는 말과 동일하죠. 화폐가치가 하락할수록 서민들의 부는 축소됩니다. 그래서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막아야 할 대상입니다. 어떤 문제든 원인을 알아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도 마찬가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원인을 살펴보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내용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발생 원인에 따라.. 2024. 4. 26.
한국거래소(KRX) 금 투자 방법과 장·단점 한국거래소(KRX) 금 투자 방법과 장·단점  최근 금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많은 분들이 금 투자에 관심을 갖고 계신 듯 합니다. 저 역시도 오래전부터 현물시장에서 금 투자를 하고 있는 중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여러 금 투자 방법 가운데 한국거래소(KRX) 금 투자 방법을 살펴보고, 이 방법에 따른 장단점도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한국거래소(KRX)가 운영하는 금시장 한국거래소(KRX)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원자재(금, 석유), 배출권 등 다양한 상품을 다룹니다. 이 중에서 금 거래소는 원자재(일반) 상품에 포함됩니다.  한국거래소는 금융기관(은행 및 비은행)을 상대로 운영됩니다. 개인들이 한국거래소와 직접 거래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개인이 한국거래소 금 시장에 참여하는 방법은 증권사를 통해.. 2024. 4. 25.
인플레이션 시기에 성장주 투자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 인플레이션 시기에 성장주 투자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 지난 4월 19일 미국 AI대장주 엔비디아의 주가가 10% 급락하면서 나스닥 지수가 2% 넘게 하락했습니다. 갑작스러운 하락에 미국 주식에 투자했던 분들이 많은 충격을 받으셨을 거라 생각하는데요. 사실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PER이 높은 성장주 투자를 조심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플레이션 시기에 왜 성장주를 조심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성장주가 무엇이고 주가는 어떻게 결정되는지 살펴본 다음, 인플레이션 시기에 성장주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성장주와 가치주는 무엇이 다를까? 성장주는 미래 가치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은 기업의 주식을 말합니다. 특히 요즘과 같은 산업 과도기 중에 성장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 2024. 4. 24.
산유국들이 유가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는 이유 산유국들이 유가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는 이유 많은 분들이 유가는 산유국이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다. 또한 자국에서 생산한 자원인데, 비싸게 받으면 더 좋은 것 아니냐고 생각하는 분도 계십니다. 하지만 산유국들은 유가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산유국들이 왜 자신들의 땅에서 캔 자원 가격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는지 그 이유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산유국들이 유가를 높이면 이익이 커지지 않을까? 현재 전 세계 1위 산유국은 미국입니다. 셰일오일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 나오면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석유를 생산할 수 있었던 것이죠. 그 뒤를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등이 잇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을 비롯해 중동 산유국들도 마음대로 유가를 올릴 수는 없습니다. 유가를 올.. 2024. 4. 23.
정부와 중앙은행은 왜 외환시장에 개입할까? 정부와 중앙은행은 왜 외환시장에 개입할까? 2024년 4월 16일 장중 환율이 1,400원을 찍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경제 전문가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냈는데요. 그 이유는 환율이 이렇게 지속적으로 치솟으면 우리 경제에 큰 어려움을 안겨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외환당국(정부와 한국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을 할 수도 있다고 발표하자 환율은 조금씩 떨어져 1380원대를 유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다면 정부와 중앙은행은 왜 외환시장에 개입할까요? 오늘은 이 내용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에는 환율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환율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2024.04.01 - [경제/생활경제] - 환율, 완벽하게 이해하기 환율, 완벽하게 이해.. 2024. 4. 22.
미국과 중국의 재정적자는 어떻게 세계 경제를 위협할까? 미국과 중국의 재정적자는 어떻게 세계 경제를 위협할까? 2024년 4월 18일 파이낸셜 뉴스에서 ‘IMF, 미 대규모 재정적자, 세계경제에 심각한 위험’이란 제목으로 미국과 중국의 재정적자가 세계 경제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기사를 내놓았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타국의 재정적자가 세계 경제의 위협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 내용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정부의 재정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싶다면 아래 글을 통해 확인해 주세요. 2024.02.26 - [경제/생활경제] - 한국경제를 좌우하는 ‘경기정책’ 한국경제를 좌우하는 ‘경기정책’ 한국경제를 좌우하는 ‘경기정책’ ‘경기정책(business cycle policy)’이란 국가 차원에서 경기에 대응하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경기정책의 목적은 국내 경기를 ‘좋.. 2024. 4. 21.
원·엔 환율이 국내 수출과 수입에 미치는 영향 원·엔 환율이 국내 수출과 수입에 미치는 영향  지난 3월19일 일본은행(BOJ)이(BOJ) 기준금리를 –0.1~0%에서 0~0.1%로 인상했습니다 1717년 만의 기준금리 인상이었기 세계 많은 국가들의 이목을 쏠렸는데요. 하지만 워낙 금리 인상폭이 작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파급효과 역시 미미한 상태입니다.  그럼에도 이후에도 일본 중앙은행(BOJ)의 금리인상 기조가 이어질 거라는 시장의 기대와 함께 엔화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 우리의 수출도 일본의 금리인상 덕분에 한 줄기의 희망의 빛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엔화의 가치가 상승할수록 국내 수출 경쟁력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내용을 담아보려고 합니다.  *환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2024.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