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329

금융회사들의 자본조달처, ‘코코본드’ 알아보기 금융회사들의 자본조달처, ‘코코본드’ 알아보기  최근 국내 금융지주사들이 코코본드 발행에 나서고 있다고 합니다. 코코본드는 지난 포스팅에서 다뤘던 신종자본증권과 후순위채와 같은 ‘자본성 증권’의 일종인데요. 자본성 증권은 일반채권이나 예금에 비해 높은 이자를 지급하지만, 만일의 사태가 발생하면 일반채권보다 높은 위험에 노출되는 상품입니다. 코코본드는 중위험 중수익 상품으로 주식보다는 리스크가 낮지만 예금보다는 리스크가 높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코코본드에 투자하기 전 알아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또 근래에 금융권이 코코본드 발행을 늘리는 이유는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코코본드(조건부자본증권, contingent convertible bond)· 금융회사들이 코코본드를 발행하는 이유· 코코본드.. 2024. 11. 20.
후순위채와 영구채(신종자본증권) 알아보기 후순위채와 영구채(신종자본증권) 알아보기  최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전세사기, 깡통전세로 피해를 입은 세입자들에게 보증금을 돌려주느라 2년 연속 3조 원대 영업 손실을 보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HUG는 자본금 확충을 위해 이달 말 5000억∼7000억 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선다고 하는데요. 신종자본증권이라는 것이 무엇이기에 이렇게 많은 자금을 발행한다고 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영구채라 불리는 신종자본증권과 이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 후순위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자본성 증권 개념 이해하기· 후순위채(Subordinated security bond)· 영구채(신종자본증권, Perpetual bond)· 정리하는 글    자본성 증권 개념 이해하기 채권은 자금조달을 위해.. 2024. 11. 19.
기업의 사업보고서, 핵심 포인트 살펴보기 기업의 사업보고서, 핵심 포인트 살펴보기  주식투자를 하는 분들이라면 투자하려는 기업이 어떤 곳인지 반드시 파악해야겠죠?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지표나 정보는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기업이 발행하는 사업보고서는 빼먹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료입니다.  투자기업의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 ‘다트(dart, https://dart.fss.or.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곳에서는 상장사뿐 아니라 외부감사를 받는 법인의 공시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업보고서는 1년에 한 번씩 발표되며 기업의 전반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공시로 3월 말 주주총회를 앞두고 발표됩니다.  오늘은 투자자들이 사업보고서를 읽을 때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읽어봐야 하는지 핵심 포인트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회사의.. 2024. 11. 18.
ABS(자산유동화증권)와 함께 알아보는 MBS, CBO, CLO ABS(자산유동화증권)와 함께 알아보는 MBS, CBO, CLO  최근 금융회사들이 부실채권(NPL)을 기초로 하는 ABS 발행을 늘리고 있다고 합니다. 오래전 글에서 다뤘던 용어지만 ABS(Asset backed securities)는 증권발행자가 당장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활용하는 상품인데요. 근래에 이런 상품들의 발행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대한민국 경제가 불안한 상태에 놓여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ABS채권이 무엇인지 간략히 정리한 뒤 금융회사가 발행하는 NPL(부실채권)을 기초로 발행되는 ABS는 어떤 점에서 문제가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MBS, CBO, CLO라는 상품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ABS(자산유동화증권,.. 2024. 11. 17.
손실과 부실을 깨끗이 털어내는 '빅 베스' 알아보기 손실과 부실을 깨끗이 털어내는 '빅 베스' 알아보기  경제기사에서 자주 종종 등장하는 단어 중에는 일부 사람들에게 다소 혼란을 주는 단어가 있습니다. ‘빅 베스(Big bath)’도 그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요. 낚시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이 용어를 외래 어종인 ‘거대한 큰입 배스’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낚시인들 사이에서는 큰 사이즈의 큰입배스를 ‘빅 배스’라고 부르기도 하거든요. 이런 착각은 발음이 비슷해 생기는 오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경제기사에서 종종 등장하는 ‘빅 베스(Big bath)’의 개념, 시행 목적, 시행 기업, 유사 용어를 함께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빅 베스(Big bath) 개념 잡기· 빅 베스를 시행하는 목적· 빅 베스를 주로 시행하는 기업의 특징· 빅 베.. 2024. 11. 16.
분산투자의 문제점과 해결법 분산투자의 문제점과 해결법  증시에는 참 많은 격언들이 있습니다. ‘떨어지는 칼날을 잡지 마라.’,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아라.’, ‘잘 아는 기업에 투자해라.’ 등 여러 말들이 있죠. 모두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훌륭한 격언들입니다. 하지만 자신만의 원칙 없이 이런 격언들만 따라 무작정 투자하게 되면 오히려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분산투자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오늘은 리스크를 줄이는 대표적인 투자 방법인 분산투자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분산투자의 문제점· 분산투자보다 더 중요한 요소· 분산투자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방법· 정리하는 글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 2024. 11. 15.
최근 금값 추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들 최근 금값 추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들  금은 본래 재미없는 자산으로 유명합니다. 특별한 일이 발생하지 않는 한 하루에 가격등락이 1%도 채 되지 않는 자산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자산의 가치를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투자되는 경우가 많아 장기투자에 적합한 안전자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몇 해 전부터 금 가격이 조금씩 상승하더니 근래에는 큰 폭으로 상승했다가 현재는 금 가격이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주식처럼 하루에도 2~3% 이상의 등락을 보이고 있는 것이죠. 그런데 어쩌다 금은 이렇게 변동성이 높은 자산이 되었을까요? 오늘은 최근 금값 추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들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안전자산에 대해 정의한 뒤 최근 금값이 어떤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 2024. 1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