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9 이자제한법과 금리인하요구권 알아보기 이자제한법과 금리인하요구권 알아보기 금융(금전융통)은 이제 우리 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행위가 되었습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경제주체들이 예·적금이나 대출을 통해 추가 수익을 창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활동의 핵심이 되는 ‘금리’에 대한 이해는 생각보다 부족한 경우가 많은 것 같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돈 값’이라 불리는 ‘이자’와 ‘돈 값의 비율’이라 불리는 금리와 이자율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이어서 이자제한법과 금리인하요구권에 대해서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금융 활동의 핵심, ‘이자,’ ‘금리’, ‘이자율’ 기초정리· 요구할 수 있는 한계를 정한 ‘이자제한법’· 고객의 권리, ‘금리인하요구권’· 정리하는 글 금융 활동의 핵심, ‘이자,’ ‘금.. 2025. 2. 13. 이자율과 할인율 개념 이해하기 이자율과 할인율 개념 이해하기 투자를 하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이자율과 할인율인데요. 이자율과 할인율에 대한 개념이 바로잡혀 있어야 자신이 손실을 본 것인지 이득을 본 것인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단어들에 대해 어설프게 이해를 하고 있거나 잘못 이해를 하면 손해를 봤어도 이익을 봤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이익을 봤어도 손해를 봤다고 착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개념은 채권투자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이번 기회를 통해서 확실히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이 두 개념이 어떻게 다른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글 구성- 이자와 이자율, 미래가치와 현재가치- 돈의 현재가치와 할인율 개념- 이자율과 할인율 개념정리- 정리하는 글 이자와 이자.. 2024. 10. 22. 환율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세 가지 요인 환율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세 가지 요인 최근 환율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 각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미국의 기준금리 역시 조만간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시장의 기대감이 연준(Fed)의 입장과 다소 괴리가 있어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이런 이유로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앞으로 환율이 어떻게 움직일지에 대해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환율의 움직임은 하루에도 수차례 오르내리기 때문에 완벽하게 예측하기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이런 환율도 외환시장에서의 수급을 통해 결정됩니다. 그렇다면 외환시장의 수급에 양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달러수급에 따라 결정되는 환율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움직이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율을.. 2024. 6. 27. '금리'를 움직이는 대표적인 변수와 금리변동에 따른 파급효과 '금리'를 움직이는 대표적인 변수와 금리변동에 따른 파급효과 자금의 흐름을 파악할 때 가장 중요한 거시경제 지표를 꼽아야 한다면 그것은 단연 ‘금리’일 것입니다. ‘금융에서 금리는 물리학에서 중력과 마찬가지다.’라는 워렌 버핏의 말처럼 금리를 알아야 자금의 큰 흐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금리에 대한 이해는 경제 전반을 이해하기 위한 밑거름이자 주요 척도입니다. 금리가 변화됨에 따라 투자자산의 가치는 달라집니다. 펀드, 임대료,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대부분의 투자자산의 가치가 금리의 변동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수익성이 높은 쪽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것이죠. 그래서 오늘은 ‘금융의 신호등’이라고 할 수 있는 ‘금리’를 움직이는 대표적인 변수들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와 함께 금리변동 시 각각의 투.. 2024. 4. 29. 환율과 금리의 관계 환율과 금리의 관계 환율과 금리는 대표적인 거시경제 지표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율과 금리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선 각각의 요소들의 개별 작용보다는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춰 바라봐야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환율과 금리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이후에는 이 둘의 관계가 어떻게 서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와 환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2024.02.24 - [경제/생활경제] - 금리가 움직이는 원리 금리가 움직이는 원리금리가 움직이는 원리 ‘금리’(金利, interest rate)는 원금 대비 ‘이자비율’을 뜻합니다. 말이 좀 어렵죠? 그럼 이렇게 말씀드려보겠습니다. 금리는 ‘돈의 값’입니다. 어떠신가요? 이제는 좀the-gon.. 2024. 4. 3. ‘인플레이션’이 경기를 추락시키는 과정 ‘인플레이션’이 경기를 추락시키는 과정 2024년 현재, 여전히 물가가 높긴 하지만, 물가 상승률은 점진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에 풀린 유동성이 미국주식을 비롯해 비트코인이나 금과 같은 자산에 몰리면서 다시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미 연방준비제도 Fed의 금리인하 의지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자칫하면 다시 나타날 수 있는 인플레이션이 어떻게 경기를 추락시키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려합니다. 인플레이션이 경기를 추락시키는 과정은 크게 네 가지 경로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인플레이션이 소비수요를 위축시키는 경우입니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 물가는 상대적으로 비싸집니다. 서민들 입장에서는 들어오는 수입은 일정한데 갑자기 나.. 2024. 3. 7. 금리와 이자, 원금과 원리금의 차이 금리와 이자, 원금과 원리금의 차이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금리’와 ‘이자’, ‘원금’과 ‘원리금’을 혼용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단어들은 분명한 뜻 차이가 있습니다.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인 만큼 이번에는 용어를 정리해 드리려 합니다. 용어에 대한 설명에 앞서 각 단어들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금리’(金利, interest rate):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 ‘이자’(利子, interest):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 ‘원금’(元金, principal): ‘본전’을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원리금’(元利金, principal and interest): 원금과 이자를 합친 돈. 한글로 읽으면 같은 의미 아닌가? 하는 .. 2024. 2.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