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일드 채권과 하이일드 스프레드의 경제적 의미
이전 글에서 경제상황을 파악할 때 채권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좋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채권 중에서도 리스크가 높은 채권이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안전한 채권이 있습니다. 바로 오늘 다루게 될 하이일드 채권과 국채가 그 대표라 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하이일드 채권’이 무엇인지 알아보면서 ‘하이일드 채권 금리’와 ‘국채 금리’ 차이인 ‘하이일드 스프레이드’가 어떤 경제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이일드 채권과 하이일드 스프레드의 경제적 의미’ 글 구성>
· 하이일드 채권과 미국 국채 & 하이일드 스프레드
· 기업대출태도와 하이일드 채권
· 하이일드 스프레드 변화에 따른 경제적 의미
· 정리하는 글
하이일드 채권과 미국 국채 & 하이일드 스프레드
하이일드 채권(high yield bond)은 높은 수익률(yield)을 제공하는 채권을 뜻합니다. 국가나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중에서 국제신용평가사(S&P, 피치, 무디스)가 BBB등급(Baa 또는 BBB-) 미만의 신용등급을 부여한 채권을 의미합니다. 우리말로 ‘정크본드’ 또는 ‘투기등급 채권’이라고 하죠.
일반적으로 하이일드 채권은 일반 투자등급 채권보다 부도 리스크가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가 제공됩니다. 반면 미국 국채는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분류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가 제공되고 있죠. 하이일드(채권) 스프레드는 세상에서 가장 안전하다고 인식되는 미국 국채금리와 부도 리스크가 높다고 인식되는 하이일드 채권 금리 간 ‘수익률(금리) 차이’를 뜻합니다.
참고로 크레딧 스프레드(Credit Spread)라는 용어도 있는데, 이는 미국 국채 금리 대비 일반 회사채 금리의 차이를 뜻합니다. 이 또한 신용 위험의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기업대출태도와 하이일드 채권
미국 금융시장의 건전성과 리스크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미국은행들의 ‘기업대출태도지수’와 ‘하이일드 채권 부도율’이 그것입니다. 미국 은행들의 대출태도지수는 연준(Fed)에서 모니터링하고 발표하는데, 이 지수는 은행들이 기업대출을 할 때 얼마나 엄격하고 까다롭게 대출조건을 적용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보통 은행들이 기업대출태도지수를 낮추면 대출승인을 쉽게 하는 경향이 있고, 지수를 높이면 대출승인을 까다롭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은행들이 기업대출태도지수를 높이면 하이일드 채권이 부도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채권을 발행한 기업뿐 아니라 투자자들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채권발행자는 채권을 판매하기 위해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해야 하고 투자자들은 높은 리스크를 감안해야 합니다.. 결국 기업대출태도지수가 높아지면 기업의 채무상환 부담이 높아지면서 하이일드 채권의 부도율도 높아집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 변화에 따른 경제적 의미
앞서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미국 국채와 하이일드 채권 간의 ‘수익률 차이’를 의미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면서 하이일드 채권은 국채보다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한다고 전해드렸죠. 하지만 하이일드 채권과 국채의 이자율 차이가 높아지면, 즉 채권 스프레드가 확대되면 금융시장의 리스크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확대된다는 것은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금리)이 상승하거나 국채 수익률(금리)이 하락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확대되는 경우, 기업들의 신용상태가 악화되거나 대외 경제요건이 불확실한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여건이 악화해 기업의 부도 가능성이 높아지면 채권 판매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채권 발행 기업들은 채권 수익률(금리)을 높여 채권을 발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동시에 투자자들은 하이일드 채권을 매각하고 안전자산인 국채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면 국채 수익률(금리)은 하락하고,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금리)은 상승하면서 두 채권 사이의 격차, 즉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확대됩니다.
반대로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축소된다는 것은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금리)이 하락하거나 국채 수익률(금리)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하이일드 스프레드의 축소는 경제가 회복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경제가 회복되면서 위험자산인 하이일드 채권 투자가 늘어나고, 안전자산인 국채 투자가 줄어드는 것이죠. 하이일드 채권 투자가 늘어나면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금리)은 하락하고, 국채 수익률(금리)은 상승하면서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축소됩니다.
때론 하이일드 채권 수요는 그대로인데 국채 수요가 변하거나. 채권 수요는 그대로인데 하이일드 채권 수요가 변해 하이일드 스프레드 값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추세적인 변화가 아닌 일시적인 수요증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경제상황에 따라 확대되거나 축소된 것이라면 두 자산(하이일드 채권과 국채) 모두에서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정리하는 글
오늘은 ‘하이일드 채권과 하이일드 스프레드의 경제적 의미’라는 제목으로 하이일드 채권과 하이일드 스프레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채권시장은 정부와 기업이 자금조달을 위해 마련된 시장입니다. 그래서 주식시장보다 자금 규모가 크고 상품도 다양한 편이죠. 게다가 그 어떤 시장보다 경제상황을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중앙은행뿐 아니라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깊은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주식투자만 한다고 해서 채권시장을 경시해서는 안 되겠죠.
그럼 오늘은 이렇게 글을 정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페드 인사이트』
*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될만한 글을 링크합니다.
2025.01.26 - [경제/미국경제] - 미국 10년물 국채에 전 세계의 관심이 몰리는 이유
미국 10년물 국채에 전 세계의 관심이 몰리는 이유
미국 10년물 국채에 전 세계의 관심이 몰리는 이유 미국 10년물 국채는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10년 만기 장기 채권입니다. 일반 서민들에겐 조금은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경제기사를 접
the-gongam1313.tistory.com
2025.01.19 - [경제/미국경제] - 트럼프 2.0 시대를 위협하는 채권 자경단
트럼프 2.0 시대를 위협하는 채권 자경단
트럼프 2.0 시대를 위협하는 채권 자경단 미국 트럼프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식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트럼프는 미국의 경제와 안보 이익을 앞세워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는데요. 이 때문
the-gongam1313.tistory.com
2024.03.12 - [경제/생활경제] - 채권 이해하기 (개념, 종류, 특징)
채권 이해하기 (개념, 종류, 특징)
채권 이해하기 (개념, 종류, 특징) 대부분의 사람들은 투자라고 하면 ‘주식’만을 떠올리곤 합니다. 하지만 전 세계 투자시장에는 주식뿐 아니라 가상화폐, 원자재, 선물·현물 시장도 있습니다
the-gongam1313.tistory.com
2024.04.18 - [경제/생활경제] - 채권 투자 방법과 채권 구매 방법
채권 투자 방법과 채권 구매 방법
채권 투자 방법과 채권 구매 방법 채권은 주식과 다르게 많은 분에게 익숙지 않은 금융상품입니다. 그래서 여전히 채권은 어떻게 투자하고 어디서 살 수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
the-gongam1313.tistory.com
2024.11.13 - [경제/생활경제] -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BW는 CB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BW는 CB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BW는 CB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지난번 포스팅에서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가 무엇인지 그리고 언제 발행되는지를 말씀드렸는데요. CB와 함께 기업들이 자주 발행하는
the-gongam1313.tistory.com
'경제 > 미국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준(Fed)의 유동성 조절장치 Ⅰ (0) | 2025.02.06 |
---|---|
미국 경기침체를 나타내는 장·단기 금리 역전과 샴의 법칙 (0) | 2025.01.31 |
미국 10년물 국채에 전 세계의 관심이 몰리는 이유 (0) | 2025.01.27 |
미국의 기대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세 가지 지수 (0) | 2025.01.21 |
트럼프 2.0 시대를 위협하는 채권 자경단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