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미국경제

미국 경기침체를 나타내는 장·단기 금리 역전과 샴의 법칙

by 순수한 땡글 2025. 1. 31.
반응형

미국 경기침체를 나타내는 장·단기 금리 역전과 샴의 법칙

 

 

미국 경제가 침체할 가능성이 높다는 언론보도를 접한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언론은 미국경제 침체 이유로 장단기 금리 역전이 오랫동안 유지되고 있다는 점과 샴의 법칙을 이유로 드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는 여전히 탄탄하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주요 선진국들은 경기침체에 대비하고 있는데 미국 경제만 건재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미국 경기침체를 나타내는 ·단기 금리 역전샴의 법칙에 대해 말씀드리면서, 이 지표들이 지닌 한계를 짚어보고자 합니다.

 

 

<‘미국 경기침체를 나타내는 장단기 금리 역전과 샴의 법칙 글 구성>

 

· 1년 넘게 지속됐던 ·단기금리 역전 지표의 한계

· ‘샴의 법칙의 개념 및 이론의 한계

· 앞으로 주목해서 살펴봐야 할 미국경제 지표

· 정리하는 글

 

 

미국 경제 침체를 주장하는 애덤 포즌 피터슨 국제연구소 소장
이미지 출처_아시아 경제_ 트럼프 정책으로 미국 경제가 침체할 거라 주장하는 애덤 포즌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소장의 모습

 

 

1년 넘게 지속됐던 ·단기금리 역전지표의 한계

 

경기침체를 예상할 때 자주 언급되는 지표 중 하나는 ·단기금리 역전입니다. 이 지표는 미국 경제의 주요 지표이며 경제 향방을 가늠하는 신호입니다. 보통 장·단기금리 역전은 미국 10년물 국채금리와 2년물 혹은 3개월물 국채금리 간 차이로 정의됩니다.

 

어떤 금융자산이든 단기금리보다 장기금리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경기침체나 경제위기가 찾아오면 단기금융시장의 수요가 늘어나고 장기금융시장의 수요는 줄어듭니다. 이런 이유로 단기금리는 상승하고 장기금리는 하락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높게 형성되기도 하죠. 이런 상황을 두고 장·단기금리가 역전됐다고 말합니다.

 

시중은행은 단기로 자금을 빌려와 장기로 대출을 해줍니다. 이것이 시중은행의 일반적인 운영방식입니다. 하지만 장·단기금리가 역전되면 시중은행이 단기로 돈을 빌리기가 어렵습니다. 단기로 돈을 빌려 장기로 대출을 해줘야만 이익이 발생하는데, 단기금리가 높아지니 장기로 대출할 여력이 없어지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금융회사의 마진이 줄거나 심한 경우에는 역마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기금리 역전이 발생하면 가까운 시일 내에 금융시장에 돈이 돌지 않아 생산, 소비, 투자가 둔화되고 실업률이 상승해 경기침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를 돌이켜보면 장·단기금리 역전이 발생하는 경우 실업률이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미국은 1년 이상의 장·단기금리 역전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용뿐 아니라 금융시장도 여전히 건재합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를 찾기 위해선 장·단기금리 역전에 모델을 제시한 캠벨 하비의 말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캠벨 하비는 장·단기금리 역전이 발생했어도 경기침체가 오지 않는 두 가지 상황을 언급했습니다. 첫 번째는 경제주체들이 장·단기금리 역전에 미리 대비할 경우 실물경제에 파급효과가 늦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경기침체는 찾아오겠지만 진행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장·단기금리가 역전했다고 하더라도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를 기록하지 않는다면 침체가 오지 않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값입니다. ·단기금리 역전이 발생했어도 실질금리가 여전히 플러스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면 금융시장이 다소 둔화될 수는 있겠지만, 크게 위축될 일은 없다는 것이죠. 이것이 장·단기금리 역전 지표가 지닌 한계입니다.

 

 

샴의 법칙의 개념 및 이론의 한계

 

샴의 법칙은 실업률 지표를 정량화 한 지표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코노미스트 출신이자 경제학자인 클라우디야 샴이 개발했습니다. 그녀는 이 지표를 통해 3개월 평균 실업률이 12개월 실업률의 최저점보다 0.5% 이상 높은 경우,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습니다. 실제로도 이 법칙은 1950년부터 미국에서 발생한 11번의 경기침체 중 1959년을 제외하고 모두 들어맞았을 정도로 높은 통계적 유효성을 자랑합니다. 하지만 이 이론은 경기침체 가능성에 확인하기 위한 참고지표로 활용될 수는 있지만, 금융당국(정부와 연준)이 정식으로 채택한 지표는 아닙니다. 그녀 역시 코로나19 사태 이후 과열됐던 노동시장 상황이나 미국 이민자 유입 확대 등으로도 실업률이 상승할 수 있는데 이런 부분을 감안해서 경기침체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경제는 다양한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샴의 법칙이라는 하나의 이론에 의존한다면 잘못된 해석을 할 수 있는 것이죠.

 

 

앞으로 주목해서 살펴봐야 할 미국경제 지표

 

·단기금리 역전이나 샴의 법칙은 결국 미국의 금융시장, 물가 그리고 실업률 상황을 설명합니다. 그런데 물가, 고용, 실업률은 미국 연준(Fed)의 주목하는 세 가지 주요 책무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경제주체들이 중점을 둬야 할 지표 역시 이 세 가지 범주로 축약됩니다. 단순히 하나의 지표만 보고 미국경제상황을 단정하기보다 물가, 고용, 실업률과 관련된 여러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검토해 예측 정밀도를 높여나가야겠죠.

 

 

정리하는 글

 

오늘은 미국 경기침체를 나타내는 장·단기 금리 역전과 샴의 법칙라는 제목으로 이들 지표에 대한 개념과 함께 한계점을 살펴봤습니다.

 

미국 경제에 대한 다양한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지만 여전히 미국의 금융과 고용시장은 탄탄해 보입니다. 하지만 미국만 홀로 호황을 지속적으로 누릴 수는 없습니다. 나 홀로 성장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경제주체들은 앞으로도 미국의 경제상황뿐 아니라 국제정세를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기와 기회에 대한 저의 생각을 한 줄로 정리하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위기는 세상이 가장 찬란할 때 찾아오고, 기회는 세상이 가장 어두울 때 찾아온다.”

 

그럼 오늘은 이렇게 글을 정리합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될 만한 글을 링크합니다.

 

2025.01.06 - [경제/미국경제] - 미국 경제를 위협하는 미국 채권 시장

 

미국 경제를 위협하는 미국 채권 시장

미국 경제를 위협하는 미국 채권 시장  2025년 새해가 밝았지만 전 세계는 새로운 희망을 향해 나아가기보다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전 세계는 지정학적, 정치

the-gongam1313.tistory.com

2025.01.19 - [경제/미국경제] - 트럼프 2.0 시대를 위협하는 채권 자경단

 

트럼프 2.0 시대를 위협하는 채권 자경단

트럼프 2.0 시대를 위협하는 채권 자경단 미국 트럼프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식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트럼프는 미국의 경제와 안보 이익을 앞세워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는데요. 이 때문

the-gongam1313.tistory.com

2025.01.10 - [경제/미국경제] - 미국 경제성장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GDP NOW' 알아보기

 

미국 경제성장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GDP NOW' 알아보기

미국 경제성장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GDP NOW' 알아보기  미국 경제가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많은 투자자분들이 미국 경제상황에 깊은 관심을 갖고 계십니다. 이런 미국의

the-gongam1313.tistory.com

2024.12.28 - [경제/생활경제] -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경제 이론과 현실 경제를 동시에 접하다 보면 서로 맞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다루게 될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도

the-gongam1313.tistory.com

2025.01.26 - [경제/미국경제] - 미국 10년물 국채에 전 세계의 관심이 몰리는 이유

 

미국 10년물 국채에 전 세계의 관심이 몰리는 이유

미국 10년물 국채에 전 세계의 관심이 몰리는 이유 미국 10년물 국채는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10년 만기 장기 채권입니다. 일반 서민들에겐 조금은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경제기사를 접

the-gongam13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