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pp환율3

PPP환율(구매력 평가환율) 알아보기 PPP환율(구매력 평가환율) 알아보기 ‘재정환율과 실질실효환율 알아보기’에 이어 ‘구매력 평가환율’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언급했던 부분입니다만, 환율은 하나의 방법만으로는 정확히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환율을 정확하게 산출할 때에는 ‘재정환율’과 ‘실질실효환율’도 활용된다고 말씀드렸죠. 하지만 이 외에도 PPP(구매력평가환율) 환율을 참고하기도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PPP환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될만한 글을 아래에 링크해 둡니다. 2024.04.01 - [경제/생활경제] - 환율, 완벽하게 이해하기 환율, 완벽하게 이해하기환율, 완벽하게 이해하기 환율, ‘국외 돈값’, ‘상대적인 돈값’ 환율이란, 서로 다른 통화를 교환할 때 적용되는 비.. 2024. 7. 7.
재정환율과 실질실효환율 알아보기 재정환율과 실질실효환율 알아보기  보통 환율을 말할 때 우리나라 국민들은 달러·원 환율로 이해합니다. 환율은 달러를 기준으로 원화의 가치를 표현한 값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런 표현은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세계 모든 나라가 환율을 말할 때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자국의 통화가치를 표현합니다. 이렇게 환율을 표현할 때 달러가 중심이 되는 것은 미국의 통화가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기축통화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환율을 산출하려면 두 국가의 통화교환이나 거래가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이 모든 국가와 교역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더구나 대부분 무역거래를 할 때 달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령 교역이 있더라도 직접적인 통화교환이 흔치 않습니다. 그런데도 환율 고시표를 보면 대부분의 나라의 통화.. 2024. 7. 6.
1인당 GNI은 왜 국민의 구매력을 반영하지 못할까? 1인당 GNI은 왜 국민의 구매력을 반영하지 못할까?  1인당 GNI은 1인당 국민총소득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이 한 해에 벌어들인 소득을 인구수로 나누어 평균한 값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많은 돈을 번 국민이 구매력도 높아야 하는 것이 정상이겠죠. 하지만 국민 소득이 반드시 해당 국가 국민의 구매력을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뭘까요? 오늘은 이 내용을 담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DP와 GNI의 순위가 다른 이유는? 노르웨이는 2022년 기준 1인당 GNI(국민총소득) 1위 국가입니다. 그리고 각국의 부를 측정하는 GDP 순위에서는 25위를 차지하고 있죠. 일반적으로 생각했을 때 생산물이 많을수록, 소득이 높아야 하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보면 이 생각은 잘못된 것으로 보이네요... 2024.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