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축통화5 달러투자는 왜 매력적인가? 달러투자는 왜 매력적인가? 세상에는 참 다양한 투자가 있지만 각각의 투자 상품에는 독특한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투자하는 상품에 따라 투자방법과 전략이 모두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죠. 여러 투자 상품중에서도 달러투자는 상당히 안정적인 투자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달러의 특성을 이해하면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기업 규모의 헤지펀드부터 시작해 개인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투자수요가 존재합니다. 이처럼 많은 수요가 있다는 것은 달러가 분명 매력적인 투자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달러투자가 어떤 점에서 매력적인지 그 이유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이유, 달러의 독특한 특성 달러는 군사력과 경제력이 최강인 미국이 발행하는 화폐입니다. 또한 달러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 2024. 9. 6. 달러의 구조적 모순과 기축통화의 지위 달러의 구조적 모순과 기축통화의 지위 최근 환율이 1350원 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환율이 1300원이라고 하면, 여기저기서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왔는데, 이제는 이 가격대가 너무 오랫동안 지속된 탓인지 일상적인 현상으로 보이기까지 합니다. 환율이 높다는 것은 달러가 강세고, 원화는 약세라는 뜻이죠. 원화가 약세가 되면서 국내의 수출실적이 개선되고 있다는 소식은 분명 반길만한 소식입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달러강세는 신흥국들에게 큰 어려움을 안겨주는 동시에 기축통화의 지위를 흔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달러의 구조적인 모순 때문인데요. 오늘은 이 내용을 담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달러의 구조적 모순, 트리핀의 딜레마 트리핀의 딜레마는 로버트 트리핀의 이름을 따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트리핀은 19.. 2024. 5. 20. 엔화가 기축통화이자 안전자산이 된 이유 엔화가 기축통화이자 안전자산이 된 이유 2024년 3월 19일 일본이 17년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세계인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드디어 일본이 디플레이션의 늪에서 빠져나오는 것인가라는 기대와 함께 향후 일본의 기준금리인상이 가져올 파장에 대해 세계인의 관심이 쏠린 것입니다. 일본의 통화는 기축통화로 통용되고 있기 때문에 엔화에 투자하는 개인이나 기관들의 이목이 쏠렸던 것은 당연한 결과였을 것입니다. 그런데 세계 GDP순위를 보면 독일이나 인도와 같은 국가는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에 꼽히는데, 왜 이들 국가의 통화는 기축 통화가 되지 못했을까요? 여기에는 한 국가의 통화가 기축통화이자 안전자산이 되기 위한 조건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러 기축통화 중에서도 엔화가 어떻게 기축통화이자 .. 2024. 5. 19. 세계 경제에서 미국만 누릴 수 있었던 특권 세계 경제에서 미국만 누릴 수 있었던 특권 세계 경제가 혼란한 가운데 미국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이 있습니다. 그것은 미국만 ‘나 홀로 살아남기’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미국은 겉으로는 세계와 공존을 외치면서 안으로는 이웃까지 짓밟으며 나 홀로 서기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한국전쟁 이후로 미국은 늘 우리의 우방국이었지만, 그동안 미국의 외교는 철저히 실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이런 실리중심의 국가운영은 외교에서만 그치지 않습니다. 미국의 경제 역시 실리에 좌우되어 왔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이 이렇게 대놓고 자기 이익을 챙겨도 다른 국가들이 한 마디 제대로 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세계 1위’라는 수식어에 담겨있습니다. 미국의 영향력을 드러내는 수식어 미국을 표현하는 수식어를 살펴보.. 2024. 4. 12. 한국은행의 국채매입이 양적완화가 아닌 이유 한국은행의 국채매입이 양적완화가 아닌 이유 지난번 포스팅에서 금융완화(긴축)와(긴축) 양적완화(긴축)에 대해 다뤘습니다. 그런데 글 말미에 한국은행의 국채매입은 ‘양적완화’가 아니라고 설명을 드렸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그 이유를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시중 금융기관에서 채권을 사들이는 것’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표현은 여러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말씀드린 것이고요.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양적완화’라는 것은 ‘중앙은행이 시중의 금융기관을 통해 정부가 발행한 ‘장기국채’를 사들이는 것‘을 뜻합니다. *이전 포스팅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2024.03.15 - [경제/생활경제] - ‘금융완화(긴축)와 ‘양적완화(긴축)’의 차이.. 2024. 3.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