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내총생산4

GDP 디플레이터 쉽게 이해하기 GDP 디플레이터 쉽게 이해하기  최근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이 1960년대 이후로 최장 기간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저물가와 화폐가치 상승)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중국이 일본이 걸어온 길을 따라가게 될 거라는 전망인데, 블룸버그는 그 이유로 중국의 GDP 디플레이터가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GDP 디플레이터가 무엇이기에 이 수치가 낮아질수록 중국이 디플레이션을 걱정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GDP디플레이터가 무엇인지 말씀드리면서 블룸버그 통신이 중국의 미래를 어둡게 바라보는 이유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GDP 디플레이터 개념 및 산출방법· 명목 GDP와 실질 GDP 개념 익히기· 블룸버그 통신이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을 예상한 이유.. 2025. 1. 23.
미국 경제성장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GDP NOW' 알아보기 미국 경제성장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GDP NOW' 알아보기  미국 경제가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많은 투자자분들이 미국 경제상황에 깊은 관심을 갖고 계십니다. 이런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GDP(Gross Domestic Product)입니다. 하지만 GDP는 분기에 한 번 발표되는 후행지표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투자를 하는 분들은 많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이런 불편함을 다소 해결해 줄 수 있는 모델이 있습니다. 바로 애틀란타 연준(Fed)이 개발한 ‘GDP NOW’라는 모델입니다. 오늘은 바로 이 GDP NOW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GDP NOW란 어떤 모델인가?· GDP NOW의 문제점· GDP NO.. 2025. 1. 11.
1인당 GNI은 왜 국민의 구매력을 반영하지 못할까? 1인당 GNI은 왜 국민의 구매력을 반영하지 못할까?  1인당 GNI은 1인당 국민총소득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이 한 해에 벌어들인 소득을 인구수로 나누어 평균한 값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많은 돈을 번 국민이 구매력도 높아야 하는 것이 정상이겠죠. 하지만 국민 소득이 반드시 해당 국가 국민의 구매력을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뭘까요? 오늘은 이 내용을 담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DP와 GNI의 순위가 다른 이유는? 노르웨이는 2022년 기준 1인당 GNI(국민총소득) 1위 국가입니다. 그리고 각국의 부를 측정하는 GDP 순위에서는 25위를 차지하고 있죠. 일반적으로 생각했을 때 생산물이 많을수록, 소득이 높아야 하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보면 이 생각은 잘못된 것으로 보이네요... 2024. 6. 9.
국가의 경제 성장률을 나타내는 GDP이해하기 국가의 경제 성장률을 나타내는 GDP이해하기  최근 신용평가회사 S&P가 2026년 대한민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4만 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그런데 윤 대통령이 이 내용을 인용하며 GDP가 4만 달러를 넘으면 양극화가 해소될 거라는 발언을 해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 발언이 큰 주목을 끌게  된 이유는 조금씩 나아지는 반도체의 수출실적과는 다르게 내수경제가 침체된 상태에 빠져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하필 GDP가 국가의 경제성장률을 나타내는 기준이 되었을까요? 그래서 오늘은 GDP개념과 함께 이 내용을 담아보고자 합니다.  GDP 개념 잡기 GDP는 국내 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을 뜻합니다. 한 나라의 경제 성장률을 언급할 때 가장 자주 쓰.. 2024. 5.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