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328

미국 경제성장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GDP NOW' 알아보기 미국 경제성장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GDP NOW' 알아보기  미국 경제가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많은 투자자분들이 미국 경제상황에 깊은 관심을 갖고 계십니다. 이런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GDP(Gross Domestic Product)입니다. 하지만 GDP는 분기에 한 번 발표되는 후행지표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투자를 하는 분들은 많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이런 불편함을 다소 해결해 줄 수 있는 모델이 있습니다. 바로 애틀란타 연준(Fed)이 개발한 ‘GDP NOW’라는 모델입니다. 오늘은 바로 이 GDP NOW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GDP NOW란 어떤 모델인가?· GDP NOW의 문제점· GDP NO.. 2025. 1. 11.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살펴본 미국 GDP 구성요소와 비중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살펴본 미국 GDP 구성요소와 비중  GDP는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입니다. GDP 산출방법은 한국이나 미국이나 동일하지만, 구성요소의 비중은 다릅니다. 이런 이유로 한 국가가 어떤 항목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서 해당 국가의 성장전략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GDP를 설명할 때 수요측면에서만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공급측면에서도 이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미국 GDP 구성요소와 비중을 살펴보면서 한국과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GDP 개념잡기 (명목 GDP와 실질 GDP)· 미국의 GDP 구성요소 · 미국의 GDP 구성요소 · 정리하는 글     GDP 개념 잡기 (명목 GDP와 실질 G.. 2025. 1. 9.
미국 경제를 위협하는 미국 채권 시장 미국 경제를 위협하는 미국 채권 시장  2025년 새해가 밝았지만 전 세계는 새로운 희망을 향해 나아가기보다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전 세계는 지정학적, 정치적, 종교적 문제와 기후위기 리스크를 안고 있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도널드 트럼프라는 예측할 수 없는 인물이 최강국 미국을 이끌게 되면서 이런 불확실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런 여러 이유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제가 탄탄하다고 평가를 받고 있는 미국에서도 균열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이 이례적인 호황을 맞고 있는 가운데 채권시장은 반대로 경고음을 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은 국제 경제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미국 경제상황과 미 국채(채권) 시장 상황을 살펴보고자.. 2025. 1. 7.
국내 증권사가 뽑은 2025년 유망업종과 기업 국내 증권사가 뽑은 2025년 유망업종과 기업  2025년 을사년(乙巳年)을 맞아 증권시장이 주목하는 유망업종 있습니다. 이미 많은 언론에서 다뤘지만, 국내증권사들 역시 2025년 유망업종으로 ‘AI’와 ‘조선’ 관련주를 꼽았습니다. 뻔한 소식으로만 치부하기에는 2024년과는 분명 다른 부분이 있고, 또 이런 차별화로 인해 주가상승 여력이 높은 업종으로 보여 이번 기회에 전해드리려 합니다. 그럼 증권사들이 뽑은 2025년 유망업종과 이를 바탕으로 ‘한국경제신문’이 조사한 유망 우량주와 스몰캡(Small Capital, 중소형주)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2025년 국내증시를 주도할 업종, AI와 조선· 2025년 국내 증권사가 뽑은 코스피 시장 우량 기업· 2025년 국내 증권사가 뽑은 코스닥 시장 스.. 2025. 1. 5.
미국의 기준금리에 상한선이 존재하는 이유 미국의 기준금리에 상한선이 존재하는 이유  중앙은행이 정한 기준금리가 자국 경제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경제주체들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귀를 기울이며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죠. 특히 세계경제를 이끌어가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Fed)이 기준금리를 발표할 때는 전 세계 이목이 쏠리곤 합니다. 그런데 연준(Fed)이 발표하는 기준금리는 다른 중앙은행과 다르게 상한선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4.4–4.6%와 같이 표현하는 식이죠. 그런데 미국은 어쩌다 기준금리에 상한선을 두게 되었을까요? 오늘은 이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Fed Fund Rate(연방기금금리)· 뉴욕 연준(Fed)의 공개시장조작· 연준(Fed)이 기준금리에 상한선.. 2025. 1. 3.
포워드 가이던스(Forward Guidance)의 핵심 구성요소 포워드 가이던스(Forward Guidance)의 핵심 구성요소  1년에도 몇 번씩 국제 금융시장이 흔들리는 시점이 있습니다. 바로 각국의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에 대한 언급이 나올 때인데요. 특히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Fed)은 FOMC 회의 후 성명서를 내고 기자회견장에서 정책을 발표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통화정책을 펴 나갈 것인지 언급하곤 합니다. 중앙은행 수장의 발언을 시장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국제 금융시장이 요동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처럼 중앙은행의 정책발표와 함께 향후 통화정책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포워드 가이던스’라고 합니다. 포워드 가이던스는 ‘선제적 지침’을 뜻하는 용어로 연준(Fed)의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예고하는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수단입니다. 오늘은 포워드 가이던스가 어.. 2025. 1. 1.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경제 이론과 현실 경제를 동시에 접하다 보면 서로 맞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다루게 될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도 이에 해당하는데요. 필립스 곡선이 근래에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이것이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미 연준(FED)의 책무가 물가안정과 최대고용이라는 점에서 필립스 곡선은 앞으로도 자주 등장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오늘은 필립스 곡선이 무엇인지 살펴보면서 왜 이 용어가 앞으로도 자주 등장할 거라 보는지 그 이유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이란 무엇인가?·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신뢰했던 필립스 곡선(Phillips .. 2024. 1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