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융정책2

스티키 인플레이션(sticky inflation)이 발생하는 이유 스티키 인플레이션(sticky inflation)이 발생하는 이유 요즘 스티키 인플레이션(sticky inflation)이라는 용어가 경제 기사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스티키(Sticky)라는 단어는 ‘끈적거리는’이란 의미고,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스티키 인플레이션(sticky inflation)을 직역하면, ‘끈적거리는 물가상승’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즉 ‘쉽게 물가가 잡히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본래 ‘스티키(sticky)’라는 용어는 미국 연준(FED) 이 낮은 변동성을 보이는 재화와 서비스를 바탕으로 집계한 ‘스티키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비롯되었습니다. 2021년 미 연준의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고 말했을 때 ‘스티키 CPI’가 물가 급등.. 2024. 3. 22.
한국경제를 좌우하는 ‘경기정책’ 한국경제를 좌우하는 ‘경기정책’ ‘경기정책(business cycle policy)’이란 국가 차원에서 경기에 대응하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경기정책의 목적은 국내 경기를 ‘좋은 상태’로 유지하는 데 있습니다. 경기정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입니다. ‘통화정책’은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금리’와 ‘통화량(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유통량)’을 조절하는 정책을 말하며, ‘재정정책’은 ‘정부’가 국가 재정(나라살림)에서 수입과 지출을 조정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즉 대한민국의 ‘경기정책’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함께 경기를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한국은행’은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입니다. 중앙은행은 일반 시중은행과 다릅니다. 화폐를 발행하고 조절하.. 2024. 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