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P모건2 2008년 금융위기의 주범? 블라이드 마스터스 2008년 금융위기의 주범? 블라이드 마스터스 이전 포스팅에서 2008년 미국 발 금융위기를 촉발한 파생금융상품 부채담보부증권(CDO)과 신용부도스와프(CDS)를 다뤘습니다. 동시에 CDS는 CDO의 위험을 커버할 수 있는 보험 성격의 파생금융상품이라고 설명을 드렸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금융위기를 촉발시킨 CDS의 창시자이자 금융위기 주범은 누구인지, 또 왜 이 상품의 위험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었는지 그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번 글은 파생금융상품(ABS, MBS, CDO, CDS)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 상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2024.04.25 - [경제/생활경제] - 자산을 담보로 발행되는 채권, ABS와 MBS 자산을 담보로 발행되는 채권, .. 2024. 5. 4. 8% 금리 경고와 주식 매각을 단행한 다이먼의 언행이 암시하는 것은? 8% 금리 경고와 주식 매각을 단행한 다이먼의 언행이 암시하는 것은? 2024년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5% 상승했다는 소식과 함께 월가의 황제라고 부르는 제이미 다이먼이 8% 금리를 언급함과 동시에 주식을 매각해 연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주식시장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월가의 거물들이라 불리는 이들은 반대의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제프 베이조스(아마존), 마크 저커버그(메타, 페이스북) 월튼가족(월마트), 제이미 다이먼(JP모건 체이스) 등이 자기 주식을 매각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JP모건 체이스 회장 제이미 다이먼이 주주서한에서 8% 금리인상 가능성을 주장했던 것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그는 "6% 이상의 장기 금리가 지속될 .. 2024. 4.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