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PS3 기업 가치를 분석할 때 PER(주가수익비율)만 봐선 안 되는 이유 기업 가치를 분석할 때 PER(주가수익비율)만 봐선 안 되는 이유 기업 가치를 분석할 때 활용되는 지표에는 대표적으로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지표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고, 또 기업 가치를 분석할 때 PER 지표만 보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래서 오늘은 PER개념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서 이 지표를 해석할 때 어떤 부분을 조심해야 하는지, 또 어떻게 활용해야 되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PER개념 바로잡기· 기업의 현재(실제) 가치를 반영하지 못하는 PER· PER이 실제 의미하는 것· PER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정리하는 글 PER개념 바로잡기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은 초보 투자자들에.. 2024. 10. 31. 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완벽히 이해하기 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완벽히 이해하기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 중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지표로 꼽히는 것이 EPS입니다.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인데요. 직역하면 ‘주(지분) 당 (순) 이익’입니다. 오늘은 기업 가치를 평가할 때 활용되는 EP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PS (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개념 잡기 EPS는 일정기간 동안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을 발행 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식으로 표현하면 ‘EPS= 당기순이익 ÷ 발행 주식 수’가 됩니다. 보통 EPS는 기업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이익을 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하는데요.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이 주식을 1,000주를 발.. 2024. 7. 21. ‘PER’과 ‘기대수익률’ 완벽하게 이해하기 ‘PER’과 ‘기대수익률’ 완벽하게 이해하기 기업분석을 할 때 자주 활용되는 수익률 지표 중에는 PER이 있습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하죠. 그리고 이 PER을 바탕으로 기대수익률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PER과 기대수익률이 중요한 지표라는 것을 알고 계시지만, 정작 이 지표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PER과 기대수익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어떻게 산출하는지 개념부터 원리까지 모두 정리해 보겠습니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대전제를 하나 깔고 가겠습니다. 그것은 'PER'은 '자산 평가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개념'이고, '기대수익률'은 '자산 소유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2024. 5.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