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환율과 금리3

환율과 통화량의 관계 이해하기 환율과 통화량의 관계 이해하기  2024년 10월 10일 기준 이스라엘과 이란의 갈등으로 중동지역에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환율이 다시 1350원을 찍었습니다. 하지만 중동지역에서의 긴장감이 완화된다면 환율은 다시 정상 수준을 회복할 가능성이 높겠죠. 사실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정학적 리스크 외에도 정말 다양합니다. 경제 펀더멘탈, 수출입 동향, 통화량 증감, 금리 조정, 외국인자금 유출입, 국제 정세에 따른 물가등락 등 너무나 많습니다. 오늘은 이 중에서 ‘통화량’에 대한 내용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통화량과 환율에 대한 개념을 설명드리고 이후부터는 환율과 통화량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통화량(Money supply)이란?- 환율(exchange rate)이란?- 환율이 하락하면.. 2024. 10. 12.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파급경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파급경로  한국은행 통화정책의 핵심목표는 물가안정입니다.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을 위해 기준금리를 조정하고 있죠. 한국은행은 금리조정을 통해 다양한 경로로 경제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를 통화정책의 파급경로라고 하는데요. 경제대국인 미국 역시 통화정책 따른 파급경로를 주시하며 경제주체들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지난 9월 미 연준(Fed)이 기준금리를 0.5퍼센트 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앞으로 한국은행 역시 비슷한 행보를 보일 거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는데요. 그럼 한국은행 역시 가까운 시일 내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고, 이에 따른 파급경로를 주시하게 될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한국은행의 금리 조정이 어떻게 국내 경기전반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2024. 9. 28.
환율과 금리의 관계 환율과 금리의 관계 환율과 금리는 대표적인 거시경제 지표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율과 금리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선 각각의 요소들의 개별 작용보다는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춰 바라봐야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환율과 금리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이후에는 이 둘의 관계가 어떻게 서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와 환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2024.02.24 - [경제/생활경제] - 금리가 움직이는 원리 금리가 움직이는 원리금리가 움직이는 원리 ‘금리’(金利, interest rate)는 원금 대비 ‘이자비율’을 뜻합니다. 말이 좀 어렵죠? 그럼 이렇게 말씀드려보겠습니다. 금리는 ‘돈의 값’입니다. 어떠신가요? 이제는 좀the-gon.. 2024. 4.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