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현실경제2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경제 이론과 현실 경제를 동시에 접하다 보면 서로 맞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다루게 될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도 이에 해당하는데요. 필립스 곡선이 근래에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이것이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미 연준(FED)의 책무가 물가안정과 최대고용이라는 점에서 필립스 곡선은 앞으로도 자주 등장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오늘은 필립스 곡선이 무엇인지 살펴보면서 왜 이 용어가 앞으로도 자주 등장할 거라 보는지 그 이유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이란 무엇인가?·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신뢰했던 필립스 곡선(Phillips .. 2024. 12. 29.
경제이론과 현실경제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 경제이론과 현실경제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 제가 자주 들리는 경제카페가 있습니다. 그런데 회원 한 분이 게시판에 이런 질문을 올렸습니다. “제가 읽고 있는 경제 책에서 금리를 내리면 경제가 살아난다고 하는데, 또 어떤 책에서는 금리가 낮아지면 경제성장률이 떨어지고 고용도 적어지고 가계소득도 줄어든다고 나와 있어요. 이거 어떤 게 맞는 말인가요?” 현실경제와 경제이론과의 괴리 카페에서 위와 같은 질문을 던진 분은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저 또한 과거에 비슷한 이유로 혼동에 빠진 적이 있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부터 한다면, ‘경제이론과 현실경제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경제 교과서에는 라틴어로 ‘세트리스 파리부스(cetris paribus)’라고 부르는 가정을 적용한.. 2024. 3.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