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환사채3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BW는 CB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BW는 CB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지난번 포스팅에서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가 무엇인지 그리고 언제 발행되는지를 말씀드렸는데요. CB와 함께 기업들이 자주 발행하는 채권이 있습니다. 그것은 BW(신주인수권부사채, Bond with subsciption Warrant)입니다. 근래 내수경기가 침체되자 BW 역시 발행이 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BW 개념정리와 함께 BW가 CB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 이들 상품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BW(신주인수권부사채, Bond with subscription Warrant) 개념 잡기· BW(신주인수권부사채)와 CB(전환사채)의 차이· 채권과 주식의 성격을 동시에.. 2024. 11. 13.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는 언제, 왜 발행될까?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는 언제, 왜 발행될까?  최근 경제뉴스를 살피다 보면 CB를 발행하는 기업이 부쩍 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각각의 기업들이 CB를 발행하게 된 배경은 모두 다르겠지만, 결국 자금을 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한다는 점은 동일한데요. 오늘은 CB가 무엇인지 간략히 알아보면서 CB가 투자자와 기업의 입장에서 어떻게 해석되는지, 또 CB는 주로 언제 왜 발행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CB 개념 잡기(기업은 왜 CB를 발행할까?)· 투자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CB· 기업의 입장에서 바라본 CB· CB는 주로 언제 발행될까?· 정리하는 글    CB 개념 잡기(기업은 왜 CB를 발행할까?)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는 채권입니다... 2024. 11. 12.
주식 성격을 닮은 특수사채(채권)와 투자 시 유의사항 주식 성격을 닮은 특수사채(채권)와 투자 시 유의사항 채권 중에서도 주식의 성격을 닮은 채권이 있습니다. 주식의 성격을 닮았다는 것은 회사채의 한 종류를 뜻합니다. 회사채는 일반사채와 특수사채로 나누어집니다. 이중 특수사채가 바로 주식성격을 닮은 채권을 말합니다. 회사채의 한 종류인 일반사채는 보증사채와 무보증 사채로 나누어집니다. 보증사채는 회사가 빚을 갚을 여력이 없을 때 금융기관 등이 지급을 보증해 주는 채권입니다. 하지만 일반기업에서 발행되는 채권의 대부분은 지급보증이 없는 무보증 사채입니다. 반면 주식 성격을 닮은 특수사채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환사채 (convertible bond, CB) 전환사채(CB)는 회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투자자에게 부여된 채권입니다. 만기까지 보유하.. 2024.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