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대수익률2

‘PER’과 ‘기대수익률’ 완벽하게 이해하기 ‘PER’과 ‘기대수익률’ 완벽하게 이해하기  기업분석을 할 때 자주 활용되는 수익률 지표 중에는 PER이 있습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하죠. 그리고 이 PER을 바탕으로 기대수익률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PER과 기대수익률이 중요한 지표라는 것을 알고 계시지만, 정작  이 지표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PER과 기대수익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어떻게 산출하는지 개념부터 원리까지 모두 정리해 보겠습니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대전제를 하나 깔고 가겠습니다. 그것은 'PER'은 '자산 평가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개념'이고, '기대수익률'은 '자산 소유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2024. 5. 2.
금리 변동에 따라 가치가 변하는 자산들 금리 변동에 따라 가치가 변하는 자산들 금리가 변동됨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 자산들이 있습니다. 특히 현재와 같이 금리의 방향이 전환될 시점에 금융시장에서는 수많은 자금이 이동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금리 변동에 따라 민감하게 가격이 움직이는 자산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먼저 금리 인상기에 타격을 받는 자산들은 대체로 고정적인 수익을 보장하는 자산들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 이유는 시중금리가 높아질수록 고정적으로 수익을 내는 자산들은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 사람들은 고정적인 수익보다 오히려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금융상품이나 투자자산을 찾게 됩니다. 반대로 금리 인하기에는 오히려 고정적으로 수익을 보장하는 자산들이 각광받습니다. 고정 수익을 내는 자산들이 시중금리보다 높.. 2024. 3. 21.
반응형